안녕하세요.
오늘은 구글 애드몹 가입과 관리자 페이지 기본 설정에서 iOS앱에 세팅하는 부분을 이야기할까 합니다.
1. 구글 애드몹 가입(AdMob)
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구글 계정으로 애드몹에 가입 한다. 무료이고 간단하다.
2. 애드몹을 설치 할 앱 가져오기
왼쪽 리스트에서 '앱' 이라는 항목에서 '새 앱 설정'으로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항목이 나온다.
해당 플랫폼과 스토어에 등록되어있는지 선택을 한다.
그 후 앱 스토어로 가서 앱 정보 -> Apple ID를 확인한 후 아래의 네모 박스에 넣은 후 검색을 눌러
해당 앱이 노출이 되면 추가를 한다.
2. 애드몹을 설치 할 앱에 app-ads.txt 설정 하기
1번 애드몹을 설치할 앱 가져오기를 완료하면 승인 상태가 '검토 필요' 그리고 Verify app이라고 나온다.
그러면 다음 스텝은 아래의 사진과 같이 app-ads.txt로 인증을 진행하면 된다.
여기서 우리가 진행하여야 할 항목은 앱 스토어로 가서 미리 보기, 스크린샷, 설명, 업그레이드된 사항 등과 같이 기본 스토어 앱 세팅 하는 부분으로 가서 마케팅 URL을 확인한다.
이 부분이 꼭 필요한 부분으로 해당 URL페이지에 나의 코드 스니펫(google.com, pub-178244399999, DIRECT, f08c47fec08vss8) 를 넣은 app-ads.txt를 호출이 가능하도록 넣어준다.(ex: https://www.mysite.com/app-ads.txt)
3. 광고 단위 설정 하기
1번과 2번 항목을 통해 우리는 애드몹 앱 ID 생성할 수 있다.
그리고 3번째 항목에서 광고 단위 ID를 생성해야 한다.
앱 ID: 하나의 앱에 하나만 사용
광고 단위 ID: 여러 개 설정 가능 (다양한 광고 형식 및 위치에 적용)
추가적으로 하나의 모바일 앱 안에 여러 개의 Google AdMob 광고 단위 ID를 사용하는 것은 가능합니다. 앱 내의 여러 위치에서 다른 광고 단위 ID를 설정하여 서로 다른 광고 형식을 표시하거나 각기 다른 화면에 별도의 광고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광고를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, 광고 단위 ID마다 다른 설정(예: 광고 형식, 타겟팅 등)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.
구체적으로, AdMob에서는 앱에 배너 광고, 전면 광고, 리워드 광고 등을 각각 별도의 광고 단위 ID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특정 화면이나 기능에 따라 다른 광고 단위 ID를 할당하여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.
구현 방법:
- 광고 단위 ID 생성: AdMob에서 필요한 만큼의 광고 단위 ID를 생성합니다.
- 코드에 여러 ID 설정: 앱의 코드에 광고 단위 ID를 각각 설정하여 사용합니다. 예를 들어, 다른 화면이나 광고 위치에 맞게 서로 다른 ID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.
이렇게 하면 하나의 앱 안에서 여러 광고 단위 ID를 관리하며 다양한 광고 형식 및 타겟팅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이렇게 아래 6가지 각각의 독립적인 광고 단위 ID 생성을 통해서 별도로 진행 하수 있다.
원하는 광고 형태를 선택하고 광고 단위 이름을 입맛대로 설정 후 만들면
광고 단위가 생성되어
신규로 광고 단위 ID가 만들어진다.
즉 필자는 광고형태 (앱 열기) 단위 ID ca-app-pub-178244333838810/44798292 이런 형식으로 만들었다.
4. 마무리
여기까지가 애드몹 가입부터 초기 기본페이지에서 앱 세팅 하는 방법이다.
다음에는 Xcode에서 이 부분을 어떻게 세팅하는지 작성을 하겠다. 끝!
'iOS, Swift 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wift에서 UITableViewCell을 구현하는 방법 (0) | 2025.03.07 |
---|---|
앱 스토어 영수증 서명 인증서 SHA-256 이슈 (0) | 2025.01.06 |
Swift 하드 코딩, 날코딩 관리 (3) | 2024.11.11 |
Swift WKWebview 웹뷰 공통 모듈 구현 (0) | 2024.11.05 |
iOS WebView DownLoad 이미지 (data:image/png;base64) (3) | 2024.09.19 |